지역사회 일반 복지 수단 곧 여느 사람이 이용하는
공간 시설 제도 제품 서비스 조직 문화를 약자도 이용할 수 있게 합니다.
약자의 복지를, 그 종류 수준 시기 방법 형식 조건을,
여느 사람과 크게 다르지 않게, 같거나 비슷하게, 합니다.
물리치료
-
신체의 통증 완화, 조직의 치유를 촉진 시키며, 신체의 움직임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당사자가 본인의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언어치료
-
의사소통이 어려운 입주자들의 발달상태 및 언어능력을 평가하여 언어의 발달을 유도하고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아 서로 묻고 의논하고 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작업치료
-
기능적 움직임 향상, 일상생활기술 및 활동강화를 통해 안전하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만성질환관리
-
고혈압·당뇨·B형간염 등 만성질환에 대한 예방, 조기발견, 조기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하고 평범한 삶을 보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.
외래진료
-
외부 전문 병원을 이용하여 입주자의 빠른 질병 치유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질병의 진행을 방지하여 건강하게 본인의 삶을 보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.
건강검진
-
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하여 입주자의 건강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이상이 발견된 입주자는 정밀하게 검사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평범하고 건강한 일상을 보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.
질병예방관리
-
선제적 검사 및 예방 접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질병 유무를 확인하여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고 예방 접종을 통하여 질병의 발생률을 낮춰 건강한 자기의 삶을 보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.
약물복용관리
-
기록에 의한 투약으로 정확한 약물복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약물의 오용 및 남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와 지역사회 일원으로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영양급식
-
입주자의 건강상태와 욕구에 맞는 균형 잡힌 영양 및 급식지원으로 입주자의 건강증진을 돕습니다.